‘뒤끝 있다’는 말, 한국어 문화에서 아주 자주 쓰이죠.
누군가 오래 전에 했던 말을 기억하고, 속으로 삐쳐 있거나 언젠가 되갚아주려는 태도를 말할 때 쓰는데요,
이 감정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?
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뒤끝 있는 성격이나 감정을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
💬 “뒤끝 있다” 영어로 딱 맞는 표현은?
직역 가능한 표현은 없지만, 상황과 감정의 맥락에 따라 여러 표현으로 전달할 수 있어요.
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있습니다.
hold a grudge | 감정을 오래 품다, 뒤끝 있다 |
be petty | 소심하게 행동하다, 쪼잔하다 |
can’t let it go | 잊지 못하다, 집착하다 |
bring it up again | 과거 일을 다시 꺼내다 |
be bitter about ~ | ~에 대해 계속 씁쓸해하다 |
🗣 실생활에서 쓰기 좋은 예문들
1. He always holds a grudge.
“He never forgets what you did wrong. He always holds a grudge.”
👉 “그 사람은 남이 한 잘못을 절대 안 잊어. 완전 뒤끝 있어.”
2. Stop being so petty.
“You’re still mad about that? Don’t be so petty.”
👉 “그 일로 아직도 화났어? 뒤끝 좀 그만 부려.”
‘petty’는 사소한 일에 집착하는 성격을 말할 때 아주 효과적이에요. 뒤끝 있는 행동에 딱!
3. She just can’t let it go.
“She keeps bringing up what happened last year. She just can’t let it go.”
👉 “작년에 있었던 일 자꾸 얘기해. 진짜 뒤끝 있다니까.”
4. He keeps bringing it up again and again.
“Let it go already! Stop bringing it up again and again.”
👉 “이제 좀 잊어! 맨날 옛날 얘기만 하잖아.”
5. She’s still bitter about it.
“Even after all these years, she’s still bitter about it.”
👉 “몇 년이 지나도 아직도 그 일로 삐져 있어.”
🔍 뉘앙스를 살려서 쓰는 표현들
hold a grudge | 뒤끝 있다 | 일반적/보편적 |
be petty | 쪼잔하고 뒤끝 있다 | 비꼼/비판 |
can't let it go | 집착한다, 삐져 있다 | 안타까움/답답함 |
still bitter | 마음에 계속 남아 있다 | 씁쓸함/상처 |
dwell on the past | 과거에 집착하다 | 자기반성 또는 비판 |
🎯 대화 예시로 감정 전달 완성하기
A: “He didn’t even invite me to his wedding.”
B: “Let it go. Don’t hold a grudge.”
👉 A: “걔가 결혼식에 나 안 불렀다니까.”
👉 B: “이제 잊어. 뒤끝 좀 없어.”
A: “You’re still upset about that joke?”
B: “Yes, it was personal. I’m not being petty.”
👉 A: “그 농담 때문에 아직도 삐졌어?”
👉 B: “응, 나에 대한 거였잖아. 뒤끝 있는 거 아니야.”
✅ 정리해볼까요?
- 뒤끝 있다는 영어로 hold a grudge, be petty, still bitter, can’t let it go 등으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 가능
- 직역보다 감정의 뉘앙스와 맥락을 중심으로 말하는 것이 자연스러움
- 대화나 글 속에서 ‘뒤끝 있는 성격’ 묘사할 때 매우 유용한 표현들!
✏️ 한 줄 리뷰 퀴즈
Q. "그는 남이 나한테 잘못한 걸 절대 잊지 않아. 뒤끝 있어." 영어로는?
① He’s always late.
② He holds a grudge.
③ He lets it go easily.
④ He’s very generous.
👉 정답: ② He holds a grudge.